회계 쪽 관심있으신 분들 꼭 읽어주세요.
회계분야 특성상 실무적인 부분이 강조되다 보니 자격증은 거의 필수입니다.
회계전공자로써 저희 학과는 졸업시험을 봐야하지만
특정 회계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졸업시험을 면제해주기도 해요.
회계 관련 자격증은
국가전 문자격증인 공인회계사와 세무사를 제외하고 10개도 더 넘습니다.
난이도 별로 자격증을 정리해보면
1) 입문단계
- 전산회계 2급
- FAT 2급
- 세무회계 3급
- 기업회계 3급
- 전산회계운용사 3급
- ERP정보관리사(회계) 2급
- 회계관리 2급
* 전산회계 2급은 매우 쉬워 1급부터 준비하는 사람 많음
단, 전산회계 건너뛰고 전산세무부터 시작하는 건 비추.
2) 초급단계
- 전산회계 1급
- FAT 1급
3) 초중급단계
- 전산회계운용사 2급
- ERP정보관리사(회계) 1급
- 회계관리 1급
- 전산세무 2급
4) 중급단계
- 세무회계 2급
- 기업회계 2급
- TAT 2급
5) 고급단계
- 전산세무 1급
- TAT 1급
- 세무회계 1급
- 기업회계 1급
- 전산회계운용사 1급
- 재경 관리사
(참고로 위의 자격증들은 모두 국가공인자격증이지만
기업회계는 국가공인이 아닌 민간자격이므로
취업과 관련해서 우선순위를 적게 두셔도 됩니다)







이렇게 입문단계부터 고급단계까지 방대합니다.
그리고 위 단계에서 보셨듯이 전산회계는 기초중에 기초이고
더 높은 단계를 배우기 위 해서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과정입니다.
기초도 없이 중급이상 단계인 전산세무 2급, 1 급을 바로 공부한다고 그게 되겠습니까..
그러니까 전산회계부터 취득하면서 기초 쌓으시고
더 높은 단계 자격증 차례대로 취득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회계 관련 분야 취업에 도움됩니다.
여기서 기업회계 세무회계2급은 전산 세무보다 위에 두셔야합니다. 범위도 그렇고 합격률도 그렇고 전산세무2급 보다 어렵고 재경관리사보다 바로 아 래입니다.
ㅇ